전통 옹기의 기능과 역사적 가치를 이해하고, 기본적인 옹기 성형 기법과 도구 사용법을 익힘으로써 전통 제작 방식을 체험하는 데 목적을 두고 기획하였다.
또한 다양한 기법을 직접 실습하며 옹기 제작의 원리를 체득하고,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한 작품 발표와 피드백 과정을 통해 옹기에 대한 이해와 작업적 표현력을 심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기관>
옹기테마체험관은 서울 중랑구에 위치한 전통 옹기문화 보존·전승 기관으로, 옹기의 역사와 제작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할 수 있는 복합 문화공간입니다. 과거 이곳은 서울에서 가장 늦게까지 옹기터가 운영되던 지역으로, 수백 년간 이어져 온 옹기 제작 전통이 깃든 장소입니다.
<시설>
옹기체험장: 화요일에는 전기물레를 활용한 성인 정규반 수업을 운영하며,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매달 다른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일일체험을 통해 다양한 옹기 작품을 제작 가능
한지체험장: 화요일에는 성인 정규반이,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매달 새로운 주제로 진행되는 일일체험이 운영되며, 다양한 한지 작품을 직접 제작
공예체험장: 옹기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화요일에는 지역 주민들의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무료 개방, 수요일에는 옹기 일일체험 프로그램, 금요일에는 ‘옹기테마아카데미’ 수업 진행
장작가마: ‘용가마’ 또는 ‘대포가마’로 불리는 전통 통가마 형태로, 서울시 무형유산 제30호 배요섭 옹기장의 자문을 받아 복원됨. 옹기 일일체험 시 약 10분간 가마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어, 전통 옹기 제작의 핵심인 불과 흙의 만남을 가까이서 체험 가능
신축관(예정): 2025년 말 완공을 목표로 건립 중이며, 실제로 불을 때는 전통가마와 30명 이상이 동시에 옹기 체험을 할 수 있는 대규모 옹기체험장이 마련될 예정
<강사>
황보연 선생님: 황보연 작가님은 옹기 제작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감각을 더해 작업을 이어가는 도예 작가입니다. 전통적인 옹기의 제작 원리는 탐구하면서 이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확장하여 테이블웨어와 조형작품 등 다양한 작업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국민대학교 도예학과 석사와 박사 과정에서 연구를 이어가며, 도예의 전통성과 현대성을 연결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꾸준한 전시 활동을 통해 창작 세계를 발전시키고 있으며, 옹기를 비롯한 도예의 가치를 보다 많은 사람들과 나누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은 예술을 매개로 사람들의 마음을 열고, 서로의 생각과 경험을 나누는 과정입니다.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 삶의 시야를 넓히고,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