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요약
– 민화팩토리는 2021년 영등포구 관내 문화예술강사들과 함께 영등포구 자체 공간(문래동2가_갤러리도감)에서 지역내 문화예술 작품을 활용하여 다문화청소년 / 중도입국청소년 / 이중국적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교육 기획자 양성과정을 운영하고자 한다.
– 영등포구 문래예술촌 내 다양한 야외 / 공방 내 예술작품을 활용한 청소년 문화예술 교육 콘텐츠가 기획될 수 있도록 함.
– 마을교육강사들이 역량을 강화하고 우수한 교육콘텐츠를 기획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를 기획 및 운영.
□ 추진목적 및 기획의도
– 영등포구 관내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중도입국청소년 / 중국 포함 타 국적 청소년 / 다문화가족 등의 문화 및 현황을 반영할 수 있는 특성화 프로그램 기획 및 발굴 필요성
– 마을교육과정의 목적과 철학을 공유 및 학교별로 마을(영등포구) 기반 교육과정 특색화 작업 진행
– 학교 안과 지역-마을을 연계한 학습 생태계의 확장
– 기존의 문화예술교육의 중심(문래동-문래예술촌)에서 확장하여 도림동 / 신길동 / 대림동 등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수요처 발굴 및 연구 수업
– 예술장르 간 통합교육, 타 분야와의 융합교육, 예술단체 및 문화 시설등과 연계한 프로그램 다각화 요구 증가
– 영등포구 관내 청소년이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기획 및 운영 (창의 체험, 학년전환기, 마을해설사, 지역화교과서 프로그램 진행 등)
– 교육의 개별 주체인 민(예술강사 및 문화예술단체) – 관(구청, 교육지원청) – 학(청소년, 학부모, 교사)이 거버넌스 또는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함께 성장 기회 제공
□ 참여인원
– 총 인원 :
– 기수별 횟수 : 1기 6명 (영둥포구 주민 5명, 외 지역 1명),
2기 6명 (영둥포구 주민 5명, 외 지역 1명),
3기 5명 (영둥포구 주민 5명, 외 지역 1명),
– 참여 인원에 대한 특이사항 : 3기 참여인원의 경우 1기와 2기 교육참여자 참여
▫ 문화다양성 관련 교육커리큘럼 : 완성 6개, 수정보안활동 20회 , 연구수업 진행
▫ 민화 및 전통공예 작품 완성
– 화병모란도, 연화도, 민화시계, 자개모빌, 책꽂이, 민화부체, 민화젠가 , 전통 꽃꽂이 디자인, 한복디자인
안녕하세요! 민화팩토리 입니다.
민화팩토리는 아름다운 우리 그림 ‘민화’를 올바르고 재미있게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아름다운 그림이자 가치있는 민화를 교육과 접목하여 재치있고 유쾌하게 풀어낸 프로그램을 운영 및 지속적으로 기획하고 있습니다.
문화 예술분야의 교육은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아이들에서 성인까지 한국의 전통 민화를 다양한 방법으로 이해하기 쉽고, 즐거워야하며,
이를 발전시켜 다양한 일상행활에서 향유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민화팩토리는 살아 움직이면서도 다채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입체적인 민화 교육을 K-스토리텔링으로 풀어내고 있습니다. 전통그림 민화가 단순히 한국의 미술장르 중 하나로 분류되는 것이 아닌 살아 움직이고 지속가능성이 있는 하나의 예술개체로 발전하여 아이들부터 즐기고 향유할 수 있는 가까운 우리 문화예술이길 바랍니다.
“예술교육은 교육이 아닌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예술은 다양한 소통과 감정의 표현이며, 1+1=2 가 아닌 정답이 없는 분야라고 생각 합니다. 예술을 교육이라는 범주 안에 예술을 가둔다면 예술을 향의 하는 들의 상상력을 죽이지 않을까요? 예술은 그래서 인간과 인간의 다양성과 이해 공감이 바탕이 되는 정의될 수 없는 영역이며 예술교육이라는 단어보다는 공감과 소통의 의미가 담긴 단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이번 민화팩토리의 은 한국의 전통예술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에 살아가는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진 사람과, 외국인들이 함께 즐기고 향유할 수 있는 예술활동 기획에 대해 고민했습니다. 현재 ‘다문화(多文化)’에 대한 단어에 대한 해석, 사용에 대해 조심스러운 면이 있으나, 한자 뜻 그대로 해석하자면 다양한 문화의 뜻으로 저희 단체는 해석하여 예술교육 또한 상호간의 소통화 이해를 할 수 있는 예술프로그램을 교육참여자와 함께 기획 했습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문화예술교육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본 단체가 생각하는 것은 예술교육에 있어 개인적인 생각의 차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주고 예술을 향유하는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사고의 범위 안에서 예술을 해석해서 단정 짓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