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심전심 골목 예술놀이터

1. 전시부스 구성

프로그램 제목

이심전심 골목 예술놀이터

프로그램 소개 (내용 및 목표)

○아이들에게 잃어버린 골목 놀이와 정서를 되찾아 줌으로써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자라나게 해주고 싶다.
○골목 놀이를 통해 개성과 창의력을 지니면서 자연과 하나 되고 사람과 더불어 사는 모습을 찾아주고 싶다.
○코로나19로 지쳐있는 아이들에게 예술교육을 통해 함께 생각하고 움직일 수 있는 토요 예술 교실을 만들어 아이들의 골목 놀이 문화를 마을에 정착시키고자 한다.

운영기간

2021.5.29~2021.10.30

참여자

초등 1기 14명, 2기 11명, 3기 12명, 4기 8명

우리가 함께한 시간들

– 연극놀이 : 신체 표현, 역할극 활동
– 야외활동 : 개웅산, 구로개봉유지 생태공원 야외 놀이 및 둘러보며 이야기 소재 찾기
– 공유회 : 마을 놀이터에서 나무꾼 이야기 발표 및 가족 참여 연극놀이 진행.

운영단체/기관/시설 및 강사 소개

창의 융합적 연극 놀이를 모든 아이들이 즐길 수 있도록 끊임없는 연구와 토론을 통해 발전을 도모하는 지구촌문화예술창작연구소 보늬입니다.

주수경 [입체 낭독극 나의 작은 어린왕장 /한화 예술더학기 /시흥문화공감 지간인형극] 연극 연출 및 연극 강사
최다냐 [수원 sk아트리움 오감스쿨/시흥문화공감학교/학생이 찾아가는 꿈의학교] 연극강사
강영미[수원 sk아트리움 오감스쿨/시흥문화공감학교/학생이 찾아가는 꿈의학교] 연극강사
홍민정[시흥문화공감학교/내기초등학교]연극강사
이보늬[로그인예술교실/세월초등학교/주제중심학교문화예술교육]연극강사

“예술교육은 ○○○○다!” 예술교육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그렇게 답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예술교육은 나의 작은 화분이다!”
예술교육을 진행하는 동안 내가 이제껏 해왔던 모든 것을 잘 배합해 넣고 아이들이라는 작은 씨앗을 넣어 그 씨앗이 어떤 모습으로 자랄지 지켜보는 모습에서 나의 작은 화분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의 예술적 자양분으로 우리 작은 씨앗들이 예술적 감수성을 머금은 모습으로 자란다면 그것을 지켜보는 것 또한 멋진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문화예술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소통이라고 생각합니다.
문화예술이라는 폼을 통해 여러 다양한 사람들이 만나 삶의 이야기를 공유하고, 새로운 만남을 통해 자신에 대해서도 알아가고, 타인에 대한 배려심, 협동심, 친화력등 감정적, 예술적으로 성장하는 소통의 장이 되는것 같아요

올 한해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언제였나요?

몇 해전부터 우리 단체에서 야심차게
준비해 온 일상 속 예술 체험을 실현하게 된 순간이 가장 행복했던 순간이었습니다.
우리 단체의 꿈다락 주제 골목예술놀이터를 개봉동 골목과 개웅산을 배경으로 펼쳐내 친구들과 모험을 떠난 것이 가장 즐겁고 행복했던 순간이었습니다.

앞으로 도전해보고 싶은 프로젝트가 있다면?

시민참여 예술놀이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습니다.
개봉동은 문화예술소외 지역입니다. 예술이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일상의 모든 것이 예술이 될 수 있다라는 것을
함께 공유하고 싶습니다.
함께 주변의 사물과 이야기 소재로 놀이와 극 활동 발표, 전시회 등을 하는 시민참여 예술놀이 프로젝트를 통해 마을 축제를 도전해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