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025년 서울 문화예술교육 통합공모는 교육예술가(단체)가 일상에서 고유의 작업을 통해 시민과 만나는 과정, 시민이 예술 창작의 주체가 되는 경험, 지역이 교육예술가(단체)의 활동과 만나 지역 특성을 반영한 예술교육으로 활성화 될 수 있는 다양한 예술교육활동 주체 지원을 목적으로 합니다.
유아
- 유아(만 3~5세) 및 양육 매개자 대상 양질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을 통해 생애 첫단계 문화예술 접근성 확대
- 사업기간: 2025년 1월 ~ 12월(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기간: 4월 ~ 11월)
시민일반(자율기획형)
- 생애주기별 문화예술 경험 수요 등 특성을 고려한 참여대상 특정형 자율기획사업 개발 운영으로 유형 일원화
- 시민 삶의 특성과 니즈를 고려한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개발·운영
- 사업기간: 2025년 1월 ~ 12월(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기간: 4월 ~ 11월)
시민일반(공간연계형)
- 서울시가 조성하고 재단이 운영하는 권역별 문화예술교육센터와 연계한 장르 특화형 지원사업 개발 운영 신규 추진
- 권역별 센터 특화 장르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 사업기간: 2025년 1월 ~ 12월(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기간: 4월 ~ 11월)
지역협력형
- 자치구 단위 생활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기반 조성
- 사업기간: 2025년 1월 ~ 12월(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기간: 4월 ~ 12월)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역량강화
- 문화예술교육사 배치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을 통한 생활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운영 활성화
- 사업기간: 2025년 1월 ~ 12월(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기간: 4월 ~ 12월)
숫자로 보는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Since 2020
숫자로 보는 서울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2020년부터 2024년 10월까지 294개의 예술교육 운영 단체/기관을 지원함으로써,
348개의 프로그램을 통해 79,397명의 시민들을 만났습니다.
*해당 통계는 2024년 10월 15일 기준입니다.
참여자
0
명
2020년: 21,194
2021년: 36,588
2022년: 19,652
2023년: 12,396
2024년: 8,320
프로그램
0
개
2020년: 93
2021년: 108
2022년: 108
2023년: 71
2024년: 53
단체
0
개
2020년: 76
2021년: 77
2022년: 90
2023년: 61
2024년: 48
2025년: 63
: Since 2020
2025년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프로그램 현황
서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서울시 60여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단체(개인)/기관을 지원합니다.
*지도에서 2024년도 예술교육 운영 단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하단 카테고리에서 지역별/장르별/대상별 상세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4월
단체명 | 사업명 | 프로그램명 |
---|---|---|
문화예술단체CAEC | 자율기획형 | HEAR_T C_ART (하트카트) |
여성을위한오픈기술랩 | 자율기획형 | TECH IN HAND |
5월
단체명 | 사업명 | 프로그램명 |
---|---|---|
천하제일탈공작소 | 공간연계형 | 탈춤과 수어의 맞장구 : 몸과 손으로 만드는 이야기 |
아트컴퍼니나우 | 자율기획형 | wow! 연극놀이로 뛰다,놀다, 날다 |
서울무용교육원 | 자율기획형 | 기억을 춤추는 몸들의 장소 |
Drama&Theatre살뮈 | 자율기획형 | 레드버튼연구소 |
극단 신세계 | 공간연계형 | STAND UP! 시니어 해우소 |
류송이 | 자율기획형 | [1기] 감각의 집: 나를 담는 작은 것들 (영 시니어 대상) [2기] 감각의 집: 귀를 기울이는 손 (청년 창작자 대상) [3기] 감각의 집: 포개지는 자리 (시니어 & 청년 창작자 통합) |
창작집단 지구별여행자 | 자율기획형 | 즉흥시어터_시 쓰기 딱 좋은 나이 |
움직이는 세상 | 자율기획형 | 슴슴투어 |
극단 들락 | 유아 | 한옥도서관에서 피어나는 옛이야기 |
강동문화재단 | 지역협력형 | 1. 마음이 자라는 강동 예술숲 |
프로젝트 아나야(AnaYa) | 자율기획형 | 울려 퍼지는 탈, 춤추는 이야기 _Echoing Masks, Dancing Tales |
관악문화재단 | 지역협력형 | 디지털과 함께하는 관악마을창작소 시즌2 |
소그룹 | 자율기획형 | 소학교 : 학교 밖 문화예술놀이터 |
6월
단체명 | 사업명 | 프로그램명 |
---|---|---|
박희자 | 자율기획형 | 비가공 채집-기록의 발견 |
중구문화재단 | 지역협력형 | 2025 중구맵 길찾기 서비스 1.0 |
영등포문화재단 | 지역협력형 | YDP 미디어 탐험대 |
발광아트컴퍼니 | 자율기획형 | 뮤지컬 “할마미아!” <즐겨요 “뮤지컬!”, 함께해요 “할마미아!”> |
도봉문화재단 | 지역협력형 | 인생작가의 마음소리책 |
김지예 | 자율기획형 | 촉감대화 |
다도스튜디오 | 자율기획형 | 성인발달장애인 대상 <감각산책> |
쿠나디아(쿨레칸) | 자율기획형 | 컬러 프라이드 Color Pride |
공간 서커스살롱 | 자율기획형 | 둠칫몸짓 ‘일상-과학-서커스’탐구 |
백인혜 | 자율기획형 | 도시에서 OO을 만난다면? |
성동문화재단 | 지역협력형 | 영화로 떠나는 예술여행, 시네마 공감 |
아이아츠(최유리) | 유아 | 묻Go, 누리Go, 춤추해 |
7월
단체명 | 사업명 | 프로그램명 |
---|---|---|
예술하는 아이다 | 자율기획형 | 아이가 어른에게, 어른이 아이에게 : ‘나이듦’에 관한 그림책 연극 |
순환창작소 | 공간연계형 | 카니발! 몸의 해방일지 |
진주 | 자율기획형 | 우당탕탕 희곡 실험실 |
(주)포밍부스 | 자율기획형 | MindCraft : 감정과 사고를 스스로 조립하고 설계하는 창작의 힘 |
artgrit lab(아트그릿랩) | 자율기획형 | 심심한 사과는 맛없는 사과일까? |
중랑문화재단 | 문화예술교육사 | [1기] 우리 고장 지킴이 [2기] 흙의 결, 장인의 손 [3기] 다시, 옹기 [4기] 나만의 옹기 막걸리 [5기] 흙이랑 놀자! |
페이퍼 그라운드 나우 | 자율기획형 | 우리 동네 예술 친구: 나란히 자라는 어린이와 어른 |
8월
단체명 | 사업명 | 프로그램명 |
---|---|---|
다시서점 | 자율기획형 | 영상 에세이 만들기 – 마을과 나의 추억 |
양천문화재단 | 지역협력형 | 언어의 발견 : 여정에 초대하다 |
금천문화재단 | 지역협력형 | 금천 청년 아트크루 프로젝트 |
배유리 | 자율기획형 | 운이 좋아 노인이 된다면 |
9월
단체명 | 사업명 | 프로그램명 |
---|---|---|
우와 | 유아 | 오감 체험 예술 말놀이 [춤추고 노래하는 말] |
본아트랩 | 자율기획형 | 도봉‘s 삭스클링_Part Ⅴ. 리:본 프로젝트 |
(재)광진문화재단 | 지역협력형 | 나루 쀼빌레라 |
ABC LAB(주식회사애이비씨랩) | 유아 | 뜻밖의 예술 |
10월
단체명 | 사업명 | 프로그램명 |
---|---|---|
종달정 | 공간연계형 | 말에서 내려오기 |